카테고리 없음

중년을 맞이하는 방법son nori

요구르트반병 2023. 8. 22. 23:01
728x90
728x170

 

 

 

 

 

 

 


미리 알고 대처하지 않으면 크게 후회하게 되는 중년을 맞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문제라고 할 만한 부분은 어떤 게 있을까요?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기 정체성의 문제입니다. 왜 사춘기 때 청소년들이 정체성의 문제로 고민을 많이 하잖아요. 그러나 사춘기 때는 자기 정체성이 확립이 되지 않아요. 미완의 과제로 남겨두거든요. 근데 자기 정체성에 대한 확립이 중년기 때 되는 겁니다.

 

 




중년 이전에는 사회에 적응하고 자기 직책에 따른 일을 해야 되기 때문에 주로 우리의 정신 에너지가 밖을 향하거든요. 외적인 어떤 페루존하는 형성이 되는데 정체성은 내적인 거거든요. 내적인 거를 확립할 수 있는 시간이 없어요. 근데 중년이 되면은 대체로 사람들이 그동안 자기가 이룬 것을 그것들이 약간 허무하다는 생각도 들어요. 내가 이것을 이루려고 인생을 살았는가 하면서 자기 내면을 들여다보게 됩니다. 그래서 중년기가 진정한 자기 정체성을 찾을 수 있는 나이가 되고 이 정체성이 확립이 되면서 뒤따라 오는 것들이 있어요. 자존감이 올라가게 됩니다. 그러니까 대체로 중년이 되면은 이게 외적인 정체성은 이 사람이 사회적인 신분이 뭐냐 사람들은 그걸 많이 보거든요. 근데 사회적 신분하고는 상관이 없이 자기 자존감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거죠. 근데 그것이 어떻게 가능하냐? 이건 정말 중년에 필요한 과제입니다.


내가 청소부를 하든 아니면 교수를 하든 자기 자신에 대해서 자존감을 가질 수 있는 그런 능력 다른 사람하고는 비교가 되지 않는 나만의 고유성 차별성 천상천하유아독전이라고 그러면 그래서 중년이야말로 진정으로 천상 천하유아 독존으로서 자기가 돼야 되는 겁니다. 그렇지 않으면 계속 비교하고 열등감을 가지거나 우월감을 가지거나 그런 인생을 살게 되겠죠.

그걸 이루면 내 삶에 만족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이루지 못하면 계속 불만족하면서 결국 나이 들어가면서 내가 가진 자원은 떨어질 수밖에 없으니까. 더 불만족이 심해지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네요.

 




비록 외적인 것은 많이 가졌다 하더라도 이런 내면의 가치관을 발견하지 못하면  불만족스럽겠죠.

첫 번째는 아무리 많은 걸 성취하더라도 항원 우울증이 옵니다.
두 번째는 고집자 노인이 된다. 이루지 못했을 때 노년으로 넘어가면요
남성이나 여성이나 보통 50대의 생물학적으로 반대 호르몬이 좀 나오잖아요. 근데 이렇게 생물학적인 변화만 있는 것이 아니라 아니라 이게 심리 내적으로도 50 전후로 해서 여성들은 심리적인 남성성이 나와요. 남성 같은 경우에는 심리적인 여성성이 또 이렇게 나오게 되죠. 부드러워진다거나 친절해진다거나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냐면은 50이 변화가 될 수 있는 또 변화돼야 되는 인생의 변곡점이 되는 겁니다.

 



첫 번째는 내가 이제부터 인생의 가치관 세계관을 내적인 것들 보이지 않는 것들에서 찾아야 되겠다. 이런 자기 의지가 중요하겠죠.  두 번째로, 명상을 하라고 합니다. 그리고 좀 천천히 걸어라 이런 말을 해요.
걸으면서 명상할 수가 있고 아니면 책상에 가만히 앉았을 때 명상을 할 수 있거든요. 근데 명상을 하게 되면은 우리도 모르게 내면에서부터 어떤 정동이 떠오를 때가 있어요. 이건 뭐냐면은 평상시와는 다른 어떤 강한 느낌으로서 강한 감정이 올라올 때가 있거든요. 그때 메세지를 듣는 거예요. 그래서 분석 심리학자 융은 내면의 소리를 들어라 그런 말을 많이 했고 굉장히 중요하게 여겼거든요.

여성애 같은 경우는 가족 얘기를 빼놓을 수가 없을 것 같아요. 사실 아까 전에 그렇게 용기를 내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씀해 주셨는데 자식들이나 혹은 친구나 이렇게 멀어지고 나서 혼자 시간을 보내는 게 많아지게 되면 고독감이 찾아올 수 있고 외로울 것 같거든요. 그런 두려움이 생길 것 같아요.

고독을 두려워하지 마라 사실 얽매여서 사는 사람의 특징이 그거예요. 내가 얽매지 않으면 고독할 거 같애 얽매이지 않으면 외로울 거 같애 고걸 내가 이렇게 나온다고 생각 굉장히 외롭고 고독해요. 계속 얽매는 거예요. 본인도 괴롭고 자식도 괴로워요 남편도 괴롭고 그러니까 우선 이 고독이라고 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한 거예요. 어떤 성장과 변화도 고독을 통하지 않고는 안 돼요.

나이 들수록 더 잘 살고 나의 자존감과 나의 정체성을 확립하면서 살아가는 방법에 대한 그리고 찾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728x90
그리드형